의외로 비중 있어서 버리면 안됩니다... 그치만 우린 현대인이니까 다른 파트보다 훨씬 쉬움
이것만 외워 가도 3일의 전사 좁빱ㅇㅇ
(근데 몇년 전 기준이라 업데이트가 안됨)
대한민국 건국광복 > 모스크바3상회의(신탁통치 하기로) > 1차 미소공동위 > 갈등 > 이승만 정읍발언(남한단독정부주장) > 좌우합작운동(여운형) > 2차 미소공동위 결렬 > 유엔에 떠넘김(유엔에서는 남한만 선거하자고 함) > 김구 입북, 4.3사건 > 5.10총선 > 제헌헌법(국회단원제, 대통령간선제), 제헌국회 구성됨 > 북한정권수립
참고)
단원제: 한국처럼 국회 합의체가 한개
양원제: 미국처럼 국회 합의체가 두개 (상원+하원)
국회 구성 그래프
문제1) 무소속 제일 많고 구석탱이에 '제주도 1년 뒤 선출' 있으면 : 제헌국회(제주도는 4.3사건 때문에 선거 늦어짐) ㅡ 농지개혁법(유상매수및분배) / 반민족처벌법 제정
2) 그래프 2개(민의원, 참의원)이고 민주당이 다수 : 장면내각(이승만(=자유당) 망함) ㅡ 내각책임제 / 지방자치제 실시
한국전쟁
애치슨선언 > 남침 > 낙동강방어선 > 인천상륙작전 > 북진 > 중국개입 > 1.4후퇴 > 휴전 > 한미상호방위조약체결
<대통령별 정리>
이승만
1차개헌 ㅡ 전쟁 중에 부산에서 / 직선제, 양원제
2차개헌 ㅡ 현직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/ 사사오입
3.15부정선거 > 김주열 > 4.19혁명 > 하야 > 장면내각
농지개혁 / 삼백산업(제분.제당.방직) / 반민족처벌법
박정희
5.16정변 > 국가재건최고회의 > 대통령 당선 > 베트남파병/한일협정 > 유신체제(계엄령, 국회해산, 긴급조치, 중임철폐, 간선제)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> 탕탕
경제개발5개년계획 / 석유파동 / 전태일 / 새마을운동
참고)
간선제 - 간접선거 (선거할 수 있는 대표단을 따로 뽑아서 걔네가 투표)
직선제 - 직접선거
전두환
12.12사태 > 퇴진요구(서울의봄) > 씹고 계엄 확대 > 5.18 > 통일주체국민회의 > 개헌(간선제.7년단임) > 3S정책, 통금해제, 두발교복자율화, 3저호황 > 4.13호헌 > 이한열 > 6월항쟁(호헌철폐) > 6.29선언(직선제, 5년단임, 김대중사면)
노태우
3당합당 / 올림픽개최 / 북방외교
김영삼
문민정부 / 금융실명제 / OECD 가입 / 외환위기(금융지원요청)
김대중
평화적여야교체 / 위환위기극복(노사정위원회, 구조조정 등) / 햇볕정책
노무현
한미FTA협상시작
통일을 위한 노력 (따옴표 안은 꼭 외워둘 것)
박정희 ㅡ 7.4남북공동성명("자주, 평화, 민족대단결")
전두환 ㅡ 이산가족상봉
노태우 ㅡ 남북동시유엔가입 / 남북기본합의서(최초로 정부 당사자간 협의) ("체제 인정, 상호불가침")
김대중 ㅡ 1차정상회담 / 6.15공동선언 ("남측의 연합제와 북측의 연방제가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")
노무현 ㅡ 2차정상회담 / 10.4공동선언
|